양도소득세115 상속받은 농지의 8년 재촌자경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 상속받은 농지를 양도하는 경우 8년 재촌자경농지에 대한 규정을 적용받을때 피상속인의 경작기간을 포함하여 자경기간을 산정합니다. , 그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②중 하나의 조건만 충족하면 됨) ① 상속개시일 이후 상속인이 1년 이상 계속하여 농사를 경작한 사실(재촌,자경)이 있는 경우 ② 상속인이 경작하지 않더라도 상속개시일로부터 3년 이내에 양도하는 경우 ※ 피상속인이 배우자로 부터 상속받은 경우 배우자의 자경기간을 포함합니다., 피상속인이 배우자로 부터 상속받지 않앗을 경우는 피상속인의 자경기간만 포함됩니다. 경작한 기간을 계산할 때 상속인이 상속받은 농지를 1년 이상 계속하여 경작하는 경우(지역에 거주하면서 경작하는 경우를 말한다) 다음 각 호의 기간은 상속인이 이를 경작한 기간으로 본다. .. 2012. 6. 15. 아!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는군요? 많은 사람들이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매매하는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알고 있다. 흔히 양도의 개념을 매매와 동일하게 이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 세법상 양도란 훨씬 포괄적인 개념으로 대가관계가 성립하는 모든 유상 양도는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되며, 다음과 같은 경우도 모두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것으로 정하고 있다. 양도의 개념, 매매와 약간 달라 부동산을 교환하는 경우에도 양도소득세가 과세된다. 교환하는 쌍방이 각자 교환 전 보유하는 부동산을 양도하고 새로운 자산을 취득하는 것으로 보아 교환하는 당사자는 모두 양도소득세를 신고해야 한다. 또한 현물출자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현물출자란 금전 외에 부동산을 출자하고 그 대가로 주식을 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채무변제, 경매, 공매 등.. 2012. 6. 14. 이런것도 양도세? 우리가 보통 부동산을 양도한다고 하면 대가를 받고 부동산을 넘겨주는 ‘매매’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세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도 양도로 보고 있다. 사례 소개 경기도 과천에 사는 화수분 씨는 2주택자다. 과천 아파트는 16년 전에 구입했고, 서울 강남구의 아파트(시가 7억 원)는 5년 전 4억 원에 구입해 현재 전세(2억 원)를 주고 있다. 화수분 씨는 아들에게 서울 아파트를 증여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그런데, 전세금에 대해서는 단순 증여가 아니라 양도세 대상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도대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부담부증여란? 우리가 보통 부동산을 양도한다고 하면 대가를 받고 부동산을 넘겨주는"매매"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세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도 양도로 보고 있다. "부담부증여"란 수증자가 재.. 2012. 5. 31. 5.10 부동산 대책의 내용 5.10부동산 대책의 내용에 대한 입법예고 내용입니다. ◈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1. 개정이유 침체되어 있는 부동산거래를 정상화하여 국민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거래동결효과를 야기하는 다주택자에 대한 중과세율과 주택의 단기양도에 대한 중과세율을 인하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가. 1세대3주택 이상에 해당하는 주택에 대한 중과세율(60%)과 1세대2주택에 해당하는 주택에 대한중과세율(50%)을 폐지하고 일반세율로 과세함 나. 보유기간이 1년 미만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의 세율을 50%에서 40%로 낮추고, 보유기간이 2년미만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중과세율(40%)을 폐지하고 일반세율(6~38%)로 과세함 ※ 법의 개정임으로 국회를 통과해야 확정됩니다. 통과 안될 수도 있습니다. ◈.. 2012. 5. 18. 주의! 주소지 달라도 1세대 기운찬씨는 자신과 부인 명의로 각각 아파트가 1채씩 있고 자신 명의의 아파트에서 함께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이번에 아파트를 팔면서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기 위해 부인의 주소지를 부인 명의 아파트로 옮겼다. 그런데 이게 어찌된 일인가? 관할 세무서에서 양도소득세 신고 안내문이 날아온 것이다. 기운찬씨는 안내문을 들고 부랴부랴 세무전문가에게 달려갔다. 주소지 옮겨도 소용없어 ‘1세대’란 거주자 및 배우자가 동일한 주소나 거소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과 함께 구성하는 집단을 말한다. 그러므로 원칙적으로는 배우자와 동거가족이 동일한 주소지에서 생계를 같이해야 한다. 다만, 배우자가 없더라도 연령이 30세 이상이거나, 소득이 있는 경우, 배우자가 사망하거나 이혼한 경우, 주택을 상속 받은 경우에는 1세대로.. 2012. 5. 17. 부모봉양 세대합로 인한 일시적인 1세대 2주택 부모님과 합가하기 전에 주택을 취득한 경우에는 합가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양도하고, 그 주택의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이면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12. 3. 1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