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진씨는 온라인 의류 쇼핑몰을 5년째 운영해오고 있다. 정 씨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단골 고객도 많이 늘었고 업계에서도 꽤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정 씨는 사업이 잘되는 것은 좋았지만 종합소득세가 많이 나오는 것이 항상 불안했다. 그러던 중, 정수진씨는 사업규모가 크면 법인으로 전환했을 때 세금 부담이 줄어든다는 이야기를 듣고, 세무회계사무소에 찾아가 법인전환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다.
개인사업을 하다가 사업규모가 어느 정도 커지게 되면 많은 사업자들이 대외신인도와 금융∙세제측면에서 비교적 유리한 법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게 된다.
소득이 일정규모 이상이면 법인이 세금 더 적어
법인형태로 사업을 하게 되면, 법인이 얻은 소득에 대하여 법인세가 과세되고, 개인형태의 경우에는 소득세가 부과된다. 비록 형태는 다를지라도 소득이 같다면 세금의 액수는 똑같지 않을까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법인세와 소득세는 적용하는 세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법인은 소득 2억 원까지는 10%의 세율이 적용되며, 2억 원을 초과하는 소득에 대해서는 22%의 세율을 적용 받는다. 반면 개인은 소득 1천 2백만 원까지는 6%, 4천 6백만 원까지는 15%, 8천 8백만 원까지는 24%, 8천 8백만 원 초과 분에는 35%의 세율이 적용된다.
위 세율을 놓고 보았을 때 과세표준이 1천만 원이라면 개인은 6%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법인은 10%의 세율이 적용되므로 개인이 유리하다. 하지만 과세표준이 5천만 원이라면 개인은 24%의 세율이 적용되고 법인은 10%의 세율이 적용되므로 법인이 유리하게 된다. 적용세율만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과세표준이 2,16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개인사업자가 유리하고, 2,160만원을 초과하면 법인이 유리하다. 따라서 소득이 일정규모 이상인 경우라면 법인이 세금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업계획, 기장능력, 투지규모 등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물론 법인과 개인 중 어떤 방식으로 사업을 할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세금 외에 장차 사업계획, 투자규모, 기장능력, 업종별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무역업은 대외신인도 때문에 설사 규모가 작더라도 법인형태로 사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법인은 개인보다 훨씬 까다롭게 장부기장을 해야 하며, 외부자금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 지도 고려해야 한다.
< 출처 : 굿모닝 뉴스레이다>
'절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공동명의, 절세효과 톡톡 (0) | 2011.12.08 |
---|---|
사업자, 절세는 물론 노후대비까지 한다. (0) | 2011.12.01 |
이런것도 상속재산? (0) | 2011.11.27 |
농가주택 구입 시 세금 줄이는 요령 (0) | 2011.11.27 |
부담부증여로 인정받기 (0) | 2011.11.20 |
사업자는 세금이 가장 무섭다. (0) | 2011.11.15 |
달라진 연말정산, 아는 만큼 혜택 늘어난다. (0) | 2011.11.11 |
1세대 2주택자의 세금 감면 전략 (0) | 2011.11.09 |
사업자등록도 상속 됩니까? (0) | 2011.11.07 |
아는 만큼 돌려받는 교육비 공제 (0) | 201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