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인세무회계사무소961

2010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1) 기장의무 : 복식부기의무자 간편장부대상자 2011년 5월 31일까지는 2010년 귀속 종합소득세의 신고기한이다. 종합소득세를 신고대상자중에 간단하게 부가세 신고만을 하고 장부를 작성하지 않은 사업자가 의외로 많다. 이 사업자들은 장부란말을 들으면 대단히 생소해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장부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1) 장부란 무엇인가? 거래의 내역을 적어놓은 것이 장부이다. 작게는 가계부도 하나의 장부이다. 2) 장부에 특별한 형식이 있는가? 법에 강제된 특별한 형식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형식은 있다. 3) 누구나 만들 수 있는가? 공인회계사나 세무사만 작성할 수 있는 것인가? : 누구나 만들수 있다. 현실 적으로 어려울뿐이지 누구나 지식만 있으면 작성한다. 4) 기장이란 무슨말인가? : 기장이란 글자그대로 장부에 기록한다는 뜻이다... 2011. 5. 11.
2010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2) 신고유형 : 기장신고 추계신고 소득세 신고유형은 계산방법에 따라 기장신고와 추계신고로 구분된다. 기장신고의 종류는 ①복식부기 신고 ②간편장부신고 로 나누어진다. 추계신고란 장부를 기장하지 아니한 사업자의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유형이다. 추계신고의 단점 : 추계신고를 할 경우에는 기장세액공제(5%,20%)를 적용 받을 수 없거나, 무기장 가산세 20%를 부담해야 한다. 추계신고의 방법에는 ①단순경비율 신고 ② 기준경비율 신고가 있다. 단순경비율 추계신고시 납부세액의 계산절차는 아래와 같다. 소득금액의 산정 : 소득금액 = 수입금액(매출액) – 수입금액(매출액) X 단순경비율 = 수입금액(매출액) X ( 1- 단순경비율 ) 과세표준의 산정 : 과세표준 = 소득금액 – 소득공제 산출세액의 산정 : 산출세액 = 과세표준 X 세.. 2011. 5. 6.
2010년 귀속 단순경비율 기본율 초과율 기준경비율 고시 (2011.03.30)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은 매년 국세청장이 고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블로그 작성일인 2011년 5월 6일 현재 2011년의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은 고시되었으나 배율은 고시 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경비율은 그 내용이 방대하여 블로고 본문에 싣지 못하여, 엑셀파일로 첨부하는 바입니다. 아래는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에 대한 표를 제외한 국세청 고시 전문입니다. 국세청고시 제2011 - 7호(2011. 3. 30) 2010년 귀속 경비율 고시 「소득세법 시행령」제143조제3항에 따른 소득금액의 추계결정또는 경정을 하는 경우에 적용할 경비율을 같은 법 시행령 제145조제3항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 3. 30 국 세 청 장 표 : 엑셀에 별첨함 ※ 단순경비율 초과율은 인적용역 사업소득자(940.. 2011. 5. 6.
상속세 절약하는법 이하우씨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어머니와 이 씨는 토지(중과세 대상이 되는 농지가 아닌 비사업용 토지)를 상속받았고, 이하우씨는 상속받은 토지를 내년쯤 부동산 개발업자에게 양도할 예정이다. 이 씨는 상속세 신고를 준비하면서 조만간 부담하게 될 상속세와 가까운 미래에 부담해야 할 양도소득세를 절세하는 방법이 없을까 고심하고 있다. 상속세 신고 시 세밀하게 처리해야 상속 받은 토지의 개별공시지가는 8억 원이고 시가는 13억 원 정도이다. 이하우씨는 상속받은 토지에 대해서 먼저 상속세를 신고 납부해야 한다. 또한 해당 토지를 개발업자에게 양도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 양도소득세는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을 차감해서 계산하는데, 상속 받은 토지의 경우에는 이 취득가액을 ‘상속세 계산시 평가한 금액.. 2011. 5. 3.
소득금액 계산방법과 무기장 가산세 ▶ 소득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은 사업자가 갖추어 두고 기록한 장부에 의하여 계산하는 것이 원칙이나 예외적으로 정부에서 정한 방법에 의하여 소득금액을 추산하여 계산하는 방법(추계과세)이 있습니다. ▶ 장부를 기록한 사업자의 소득금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소득금액=수입금액-필요경비] ⇒ 즉 매출액에서 비치·기장한 장부에 의한 실제 발생된 경비를 차감하여 소득금액을 산출합니다. 매출에서 비용을 뺀 순이익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 장부를 기록하지 않은 사업자의 소득금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기준경비율적용 대상자 [소득금액=수입금액-주요경비-(수입금액×기준경비율)] □ 단순경비율적용 대상자 [소득금액=수입금액-(수입금액×단순경비율)] ⇒ 기준경비율이나 단순경비율은 정부.. 2011. 5. 3.
이월결손금 소멸시효 법인세법상 이월결손금은 아래와 같이 소멸합니다. 법인세법 13조는 2008년 12월 26일 개정되었습니다. 2008년 이전 발생분 : 5년 이후 소멸 예시) 2007년 발생 이월 결손금--> 2008년 3월 법인세 신고 --> 2013년 3월말 소멸. 2009년 이후 발생분 : 10년 이후 소멸 예시) 2010년 발생 이월 결손금 --> 2011년 3월 법인세 신고 --> 2021년 3월말 소멸. 법인세법 : 제13조【과세표준】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과세표준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의 범위에서 다음 각 호에 따른 금액과 소득을 차례로 공제한 금액으로 한다. 1. 각 사업연도의 개시일 전 10년 이내에 개시한 사업연도에서 발생한 결손금으로서 그 후의 각 사업연도의 과세표준 계산을 할 .. 2011. 5. 3.